제8차 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(KCD-8) 개정·고시
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
첨부파일 참고
통계청: 통계정책국 통계기준과
담당자: 과장 손은락(042-481-2060) / 사무관 장선희(042-481-2574)
1. 보도자료
통계청은 의학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(KCD)를 개정하여 2020년 7월 1일 고시하고
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.
* 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(KCD)는 보건관련통계작성을목적으로 1952년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일곱 차례 개정되었으며, 이번이 8차 개정이다.
* 표준분류는 5년 주기로 개정, 표준질병·사인분류는 끝자리 0년과 5년에 개정
2. 주요 개정사례
3. 제8차 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(KCD-8) 개정 적용된 상병명으로 기록 예시
① 의학용어에 대한 한글표현 수정 예시 : 앨러지(변경 전) → 알레르기(변경 후)
변경 전 '앨러지'로 기록된 진료기록을 최근상병으로 기록할 경우, 변경 후 상병명을 선택하는 창이 활성화됨

② 보험상병명 선택창에서 변경 전 빈용상병을 삭제하고 변경 후 상병명으로 빈용상병을 추가할 경우
1) 변경 전 상병명을 선택 → 빈용상병에서제외

2) 결과 내 검색 체크 해제 → 변경 후 상병명 입력 후 엔터 → 상병명 선택 → 빈용상병으로등록

③ 묶음 기능에서 변경 전 앨러지 관련 상병으로 묶음 기능을 이용한 경우
1) 묶음 → '기타 앨러지 비염'의 묶음 처방명 선택 시 → 진료내역이 삭제되었다는 안내창 뜸

2) 묶음자료 기능에서 메뉴의 [사용 종료된 상병명 교체] 기능을 이용하여 상병명 교체하기 진행

4. 용어변경 내역표
제8차 한국표준질병∙사인분류 용어변경 내역표 |
영문 용어 |
변경 전(KCD-7) |
변경 후(KCD-8) |
비고 |
CNS |
CNS |
중추신경계통(CNS) |
제4편 |
HPV |
HPV |
인체유두종바이러스(HPV) |
제4편 |
vipoma |
VIP종 |
혈관활성-장 폴리펩타이드(VIP)종 |
제4편 |
thymic |
가슴샘 |
흉선 |
제4편 |
thymoma |
가슴샘종 |
흉선종 |
제4편 |
-bacillus |
간균 |
막대균 |
|
pseudopapillary |
거짓유두모양, 가유두모양 |
가유두모양 |
제4편 |
tendon |
건 |
힘줄 |
|
well(-)differentiated |
고도분화형 |
고분화된 |
제4편 |
solitary |
고립의 |
고립성 |
제4편 |
Hyperhomocysteinemia |
고호모시스틴혈증 |
고호모시스테인혈증 |
|
periosteal |
골막 |
골막의 |
제4편 |
-coccus |
구균 |
알균 |
|
cheil(o)- |
구순 |
입술 |
|
radicular |
근 |
뿌리 |
|
bronchioloalveolar |
기관세지폐포성 |
세기관지폐포성 |
제4편 |
dysthymia |
기분이상 |
기분저하증 |
|
basosquamous |
기저(바닥) 편평세포 |
기저편평 |
제4편 |
basal cell |
기저(바닥)세포 |
기저세포 |
제4편 |
basaloid |
기저(바닥)세포모양 |
기저세포모양 |
제4편 |
teratoid |
기형양 |
기형모양 |
제4편 |
rete ovarii |
난소그물 |
난소망 |
제4편 |
cyst
associated |
낭-수반 |
낭-관련 |
제4편 |
infundibular |
누두부 |
깔때기 |
|
neurothekeoma |
뉴로테크오마 |
신경초점액종 |
제4편 |
Haut mal |
대간질 |
뇌전증대발작 |
|
subaortic
stenosis |
대동맥하협착 |
대동맥판하협착 |
|
aorticstenosis |
대동맥협착 |
대동맥판협착 |
|
sinonasal |
동비강 |
비부비동 |
제4편 |
Reiter disease |
라이터, 라이터병, 리이터병,
리이터질환 |
라이터질환 |
|
Chronic
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|
만성 폐색성 폐질환 |
만성 폐쇄성 폐질환 |
|
pilomatricoma |
모기질종 |
털바탕질종 |
제4편 |
jugulare |
목정맥, 경정맥 |
경정맥 |
제4편 |
sessile |
무경성(납작) |
무경성 |
제4편 |
spindle cell |
방추(상) 세포 |
방추세포 |
제4편 |
peritoneal |
복강 |
복막 |
|
abdominal
hernia |
복벽탈장 |
복부탈장 |
|
adrenal
cortical |
부신피질(겉질) |
부신피질 |
제4편 |
code |
부호 |
코드 |
|
differentiated |
분화형 |
분화된 |
제4편 |
non-invasive |
비침습성 |
비침범성 |
제4편 |
nonencapsulated |
비포위, 비피낭, 비피막성 |
비피막형성형 |
제4편 |
ameloblastic |
사기질모세포성 |
에나멜모세포성 |
제4편 |
craniopharyngioma |
사기질종성 |
에나멜상피종성 |
제4편 |
warty |
사마귀(의) |
사마귀모양 |
제4편 |
live birth |
생산아 |
생존아 |
|
element |
성분, 요소 |
요소 |
제4편 |
features |
성향 |
특징 |
제4편 |
renal tubular |
세뇨관 |
신세뇨관 |
|
endocervical
type |
속자궁목 |
자궁경관내막형 |
제4편 |
postprocedural |
수술후, 처치후 |
처치후 |
|
cyclothumia |
순환성격 |
순환기분장애 |
|
alcohol |
알콜 |
알코올 |
|
allergy |
앨러지 |
알레르기 |
|
superficial |
얕은 |
표재성 |
제4편 |
enamel |
에나멜 |
법랑질 |
제4편 |
eccrine |
에크린, 외분비 |
외분비 |
제4편 |
follicular |
여포성 |
소포성 |
제4편 |
anaplastic |
역형성형 |
역형성의 |
|
cochlear |
와우 |
달팽이관 |
|
epispadias |
요도상렬 |
요도상열(증) |
|
urothelial |
요로 점막의 |
요로상피성 |
제4편 |
gastrointestinal |
위창자 |
위장 |
제4편 |
epithelioid |
유상피 |
상피모양 |
제4편 |
Ewing´s |
유윙, 유잉 |
유잉 |
제4편 |
trabecular |
육주상 |
섬유주 |
제4편 |
human
T-lymphotropic virus |
인체T림프구친화바이러스 |
사람T림프구친화바이러스 |
|
Human
metapneumovirus |
인체메타뉴모바이러스 |
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|
|
Human
immunodeficiency virus[HIV] |
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|
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|
|
cervical |
자궁경관 |
자궁경부 |
|
endometrioid |
자궁내막양 |
자궁내막모양 |
제4편 |
notch |
절흔 |
파임 |
|
myxoid |
점액성 |
점액모양 |
제4편 |
defibrillator |
제세동기 |
심장충격기 |
|
wolffian |
중신관 |
볼프관 |
제4편 |
central |
중추, 중심 |
중심성 |
제4편 |
arachnoid |
지주막 |
거미막 |
|
juvenile |
청소년성, 청소년형 |
연소성 |
제4편 |
postnatal
depression |
출생후우울증 |
출산후 우울증 |
|
odontogenic |
치성 |
치원성 |
제4편 |
odontoameloblastoma |
치아사기질모세포종 |
치아에나멜모세포종 |
제4편 |
renal |
콩팥(신) |
신장, 신 |
제4편 |
serrated |
톱니모양의 |
톱니모양 |
제4편 |
Pelizaeus |
펠리체우스 |
펠리제우스 |
|
insufficiency |
폐쇄부전 |
기능부전 |
|
encapsulated |
피낭 |
피막형성형 |
제4편 |
blood clot |
피떡 |
혈액응고 |
|
intracortical |
피질(겉질)내 |
피질내 |
제4편 |
oligo |
핍 |
희소 |
제4편 |
oligoastrocytoma |
핍성상세포종 |
희소성상세포종 |
제4편 |
oligodendroblastoma |
핍지교모세포종 |
희소돌기아교모세포종 |
제4편 |
oligodendroglioma |
핍지교종 |
희소돌기아교세포종 |
제4편 |
diffuse |
확산, 확산성 |
미만, 미만성 |
제4편 |
Vital
depression |
활력저하 |
저활력 우울증 |
|